삿포로올림픽과 도시재생― 고도성장기와 저성장기의 전략

The Urban Regeneration and Sapporo Winter Olympics: The Strategies of High-Growth and Low-Growth Period

이 논문은 일본 고도성장기와 저성장기 삿포로(동계)올림픽과 도시재생 과정을 분석했다. 72년 삿포로올림픽은 ‘비교적 대규모의 도시에서 개최된 예외적 사례’이자 제3단계의 특징을 가진다. 올림픽 경기시설의 확충뿐만 아니라, 공항 건설, 철도시스템 향상, 도로 및 지하철 건설 등처럼 비교적 많은 도시 인프라 시설을 투자한 유형이다. 삿포로시 대도시권의 크기와 도심 지역이 확장되면 될수록, 홋카이도 전역의 지역 발전은 점차 쇠퇴해갔다. 삿포로시는 1972년 삿포로올림픽이 인프라와 시설 정비 등 ‘만드는’ 올림픽이었다면, 2026년의 재유치는 성숙 도시로서 자연과 조화하는 ‘연결하는’ 올림픽을 제시했다. 그러나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 의하면 올림픽 개최가 낳을 경제효과보다는 재정 문제에 대한 우려가 강했다. 삿포로올림픽 재유치를 위한 전체 소요 경비가 시 1년 예산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 연구는 삿포로올림픽 재유치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저성장기 2000년대 중반 이후 홋카이도 대도시권 재생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봤다.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es of Sapporo (Winter) Olympics and urban regeneration in the Strategies of High?Growth and Low?Growth Period. The 1972 Olympics were recognized as a tool of regional development (Hokkaido) in third phase. Japan government invested the huge capital, redevelopment for Olympics were on sports facilities and urban infrastructure like airports, main railway station, roads and rapid transit system. As Sapporo City has expanded the scale of urban core city in metropolitan areas, the whole area of Hokkaido declined in regional development. While the 1972 Olympics were the ‘making’ type such as infrastructure and facility maintenance, the 2026 Olympics were the ‘connecting’ type to harmonize with the nature as the mature city. A recent survey shows that there was strong concerns about the financial situation rather than the economic effects of the Olympics. The total expenditure for hosting Sapporo’s second Olympics has exceeded half of the city’s one?year budget.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mid?2000s of the low?growth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hosting Sapporo Olympics in 2026.
키워드

Sapporo, Winter Olympics, Urban Regeneration, Low-Growth Period
2019-11-13T11:35:40+09:00
Go to Top